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3/19 키즈(영유아 중심) 시장 동향 Part.2

카테고리 없음

by 센슬리 2021. 3. 19. 15:42

본문

*작성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해당 포스팅의 무단 복사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.

 

Part 1 에서 키즈 시장의 높은 성장률과 잠재성을 확인했다면, Part 2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 키즈 콘텐츠 업체 3곳을 살펴보려고 한다.

 

국내 키즈 콘텐츠 업체 TOP 3는 ① '스마트스터디', ② '아이코닉스' 그리고 ③ '캐리소프트'이다. 위 기업들은 모두 대표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캐릭터들은 나에게도 매우 익숙한 친구들이다. 아기상어 붐을 일으켰던 '핑크퐁과 아기상어', 국민 펭귄 '뽀로로', 그리고 처음 보는 친구들인 '캐리와 친구들'. 세 기업은 캐릭터의 IP를 활용해 사업을 운영하는 데에는 동일하지만, 각 캐릭터들의 타겟과 주 콘텐츠의 성격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. 이번 분석은 세 기업의 특징을 간략하게 이해하기 위함이고, 상세한 정보는 추후 재무재표 분석하게 된다면 추가할 예정이다. (안할 가능성이 더 높다.)

 

'스마트스터디-핑크퐁', 자료 출처:  www.edaily.co.kr/news/read?newsId=02784726625799752&mediaCodeNo=257

 

 

'아이코닉스-뽀로로', 자료 출처:  www.yna.co.kr/view/AKR20181122136500371

 

'캐리소프트-캐리와 친구들', 자료 출처: http://www.carriesoft.com/

 

1. 키즈 콘텐츠 동향

 

1) 스마트스터디(핑크퐁)

: 국내 대표 키즈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업체이며, 어린이 음악(키즈팝)과 교육용 콘텐츠 분야에서 인기가 높다.

교육 대상이 주로 영유아이기 때문에 교육 콘텐츠들은 '습관형성'을 중심으로 제작/기획된다.

 

▶ 음악 콘텐츠 연계 영유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강점 보유

▶ 자사 강점을 명확히 파악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 실험(국악, 클래식 등)

▶ 국내 IPTV 업체, 'KT', 'U PLUS' 등 뿐만 아니라 해외 OTT 채널 '넷플릭스', '로쿠'에 콘텐츠 공급 

 

(1) 타겟 연령: 주 컨텐츠인 핑크퐁은 영유아(1-6세) 대상

(2) 보유 캐릭터: '핑크퐁', '몬스터 슈퍼리그(8세-14세 미만 어린이)'

(3) 평균 소비액: 관련 자료 사이트 아시는 분 알려주세요 :)

(4) 보유 콘텐츠(진행 사업): 

  ⓐ 공연: '핑크퐁 공연' - 뮤지컬, 콘서트, 클래식, 국악 공연 진행

   - 클래식 공연 티켓가: 44,000 ~ 66,000원 / 20개월 이상 관람 가능/ 1일 2회 진행(14시, 16시 30분)

www.yna.co.kr/view/AKR20190403086700005?input=1195m

 

클래식 공연과 만난 '핑크퐁'…24개월 미만은 무료입장 | 연합뉴스

(서울=연합뉴스) 임수정 기자 = 미국 빌보드 '핫 100' 순위에 진입한 최초의 한국 동요 '아기상어'(Baby Shark)가 클래식 공연장에...

www.yna.co.kr

  ⓑ 교육

   - '핑크퐁 홈스쿨': 일정 기간마다 집으로 배송되는 교육 프로그램 키트, KT IoT 연계 '핑크퐁 한글이랑' 서비스출시

   - '핑크퐁 마이쉐프': 키트 안에 포함된 재료로 지정된 요리 만들기 ex) 만두, 브라우니 등 

  ⓒ 플랫폼: App '핑크퐁 tv', '핑크퐁! 상어가족', '핑크퐁!ABC 파닉스' 

  ⓓ OTT: 해외 채널 '넷플릭스', '로쿠'에 콘텐츠 공급 진행 중

   - 그 외 애니메이션, 브랜드 제휴 등 활발히 활동

 

▽ 상세 내용은 아래 확인 :)

www.pinkfong.com/ko/

 

Pinkfong Official Website

 

www.pinkfong.com

www.etnews.com/20201005000030

 

KT “기가지니X핑크퐁과 한글 배워요”

KT가 글로벌 콘텐츠 기업 스마트스터디와 인공지능 TV 기가지니에서 한글을 쉽고 재밌게 배울 수 있는 핑크퐁 한글이랑 서비스를 출시했다. 핑크퐁 한글이랑은 14개 한글 동요 영상과 한글 퀴즈

www.etnews.com

 

2) 아이코닉스(뽀로로)

: 국내 대표 키즈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업체이며, 공간 사업 및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높은 강점을 지닌다.

▶ 국내 16개/ 해외 12개 공간 사업 운영 (제주도 내 자체 테마파크 '뽀로로&타요 테마파크' 운영)

▶ 5 종류 이상의 캐릭터를 보유함에 따라 타겟 연령대 범위가 넓다. (뽀로로 - 3세 ~ 태극천자문 - 초등학교 저학년)

 

(1) 타겟 연령: 캐릭터 별 상이

(2) 보유 캐릭터: 아래로 내려갈 수록 연령대 상승 

  ⓐ 뽀롱뽀롱 뽀로로, 꼬마버스 타요, 치로와 친구들(핑크퐁보단 높은 이용 연령대/ 3-6세)

  ⓑ 미술탐험대, 스톤에이지(초등학생 입학 전/저학년)

  ⓒ 태극천자문, 플라워링하트, (포켓몬 st/ 초등학생 저학년)

(3) 평균 소비액: 

(4) 보유 콘텐츠(진행 사업): 

  ⓐ 콘텐츠(IP)/라이센스

  ⓑ 공간: 자회사 '뽀로로파크' 보유, 국내 16개, 해외 12개(중국 9개, 싱가폴/싸이판/필리핀 각 1개) 공간사업 운영 

   - 국내/외 대부분 마트 혹은 대형 쇼핑몰, 리조트에 입점

    > 입장료 : 지점 별 상이하나 보통 어른 8,000 - 10,000원, 어린이 20,000원(2시간 기준)

      초과요금 부과 : 어른 500원, 어린이 1,000원 (10분 당)

    > 제주도에 자체 보유 테마파크 '뽀로로 & 타요 테마파크' 운영

    > 경주 한화리조트 내 수영장 공간을 커스텀하여 '아쿠아빌리지' 운영

    > 인천 제 2터미널 '뽀로로 테마파크' 및 '뽀로로 타요 면세점 브랜드숍(MD)' 오픈

  ⓒ 공연

   - 뮤지컬: 제작 캐릭터 활용 가족뮤지컬 진행

    > 티켓가 6,000원(선착순 좌석 배치)/ 러닝타임 70분/ 평일 2회(11시, 14시), 주말 3회(11시, 14시, 16시) 진행

  - 클래식: '아이코닉스 온 스테이지' 

   > 풀사이즈 오케스트라 연주와 아이코닉스 제작 캐릭터 5종을 활용한 클래식 공연 

   > R석: 77,000 원, S석 55,000 원, A석 33,000 원 / 러닝타임 70분/ 1일 2회(15시, 18시) 공연 진행

www.ibaby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65432

 

프리미엄 키즈 콘서트 ‘아이코닉스 온 스테이지’ 7월 첫 공연 - 베이비뉴스

【베이비뉴스 윤정원 기자】‘뽀롱뽀롱 뽀로로’, ‘꼬마버스 타요’를 비롯한 아이코닉스의 인기 애니메이션 영상과 풀사이즈 오케스트라 연주가 함께하는 프리미엄 키즈 콘서트 ‘아이코닉

www.ibabynews.com

  ⓓ 교육(핑크퐁 대비 교육 콘텐츠 미비)

   - 출판브랜드 '키즈아이콘' 과 협업하여 완구 중심의 키즈 교육 컨텐츠 제작

   - 언어 교육 콘텐츠 강화를 위해 2017년 영어 교육업체와 제휴 진행

  ⓔ 플랫폼: 자체 모바일 앱 10개 보유

   - 교육용 및 MD 상품 연계용 App 출시했으나 활용도가 저조한 것으로 판단

     20년 유통 스타트업 기업 '블랭크 코퍼레이션'과 MOU 체결하며 디지털 커머스 분야 육성 계획

www.news1.kr/articles/?3831380

 

블랭크-아이코닉스 맞손 '아동 콘텐츠 시장 공략'

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

www.news1.kr

  ⓕ OTT: 국내 IPTV 3사와 해외 넷플릭스 채널에 콘텐츠 공급 진행 중

news.mt.co.kr/mtview.php?no=2017051814011120165&outlink=1&ref=https%3A%2F%2Fsearch.naver.com

 

'뽀로로와 TV속에서 함께 논다' KT 하이퍼VR 'TV쏙' 출시 - 머니투데이

#TV 속에서 우리 아이가 핑크퐁과 함께 신나게 율동한다. TV 화면 속 우리집 거실에서는 미니언즈가 아이와 함께 뛰어다닌다. 마치 내가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되고 ...

news.mt.co.kr

 

3) 캐리소프트

: 국내 대표 키즈 MCN 콘텐츠 업체이며, 총 8명의 크리에이터가 출연하는 유튜브 영상으로 인기가 높다. 현재 구독자는 201만명이며, 자사 소속 크리에이터를 활용한 장난감 리뷰 영상이 가장 많다. 이 외에도 가족 시트콤, 키즈 예능 및 캐릭터 vlog 들이 있으며, 크리에이터 각각의 팬층이 높은 편이다.

 

▶ 국내 대표 키즈 MCN 업체로 8명의 크리에이터 보유. 각 캐릭터 별 콘텐츠를 달리하여 키즈의 다양한 니즈 충족

▶ 자사 크리에이터 활용 꾸준한 공연 콘텐츠 진행. 특히 2018년에는 기존과 달리 EDM으로 새로운 공연 콘텐츠 진행

▶ 모바일 앱, 게임 등 디지털 분야에서 활발하게 IP 활용 상품을 만들며 국내,외 빠른 성장 중

 

(1) 타겟 연령: 5세 이상 초등학교 저학년 예상

(2) 보유 캐릭터: 크리에이터 8명, 각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7종 총 15개의 캐릭터 보유

(3) 평균 소비액: 

(4) 보유 콘텐츠(진행 사업): 

  ⓐ 공연:  '캐리와 장난감 친구들'이라는 제목의 뮤지컬로 시즌 1,2회 진행

   - 공연 시간: 60분 (앙코르 공연 시, 포토 타임 및 밋업 시간을 고려하여 총 공연시간 65분으로 연장) 

   - 티켓 판매가: VIP 55,000 원, R석 44,000원, S석 33,000원

   > 2015년 주연 크리에이터 퇴사로 현재까지 미진행

 

  - 그 외 진행 콘텐츠

  • 뮤지컬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(2014년~2015년)
  • 러브콘서트 (2018년~2019년/ 2019년 EDM 가족콘서트 진행)
  • 뮤지컬 미운 오리 너는 특별해 (2018년) 
  • 뮤지컬 캐리TV 소극장 프로젝트 캐빈엘리쇼 (2018년~2020년)
  • 뮤지컬 빠라밤 유치원 (2019년) - 핀란드 빠이바꼬띠식 공연 중.

www.ggac.or.kr/?p=14_view&idSchedule=10169

 

경기아트센터

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위치, 경기아트센터 소개, 공연 및 교육, 문화복지, 대관 및 이용안내.

www.ggac.or.kr

  ⓑ 교육

  - 중국 5G 이동통신사 '양스핀'을 통해 중국 전역 한글, 영어 교육 콘텐츠 방영

www.newsway.co.kr/news/view?tp=1&ud=2020030314113036703

 

캐리소프트, ‘헬로캐리’ 중국 5G 양스핀 서비스 개시 - 뉴스웨이

캐리소프트는 어린이 영어교육 프로그램인 '헬로캐리'(중국명 Hello凯利ABC)가 중국 국영방송 CCTV의 5세대 이동통신(5G) 모바일 서비스인 '양스핀'(央视频)을 통해 중국 전역으로 서비스 개시했다고

www.newsway.co.kr

  - 21년 2월, 유료 모바일 영어 교육 서비스 'Hello Carrie' 론칭

blog.naver.com/johnkth/222252165018

 

캐리소프트 어린이 영어교육 모바일 서비스 ‘헬로캐리’(Hello Carrie) 론칭 급등세

안녕하세요캐리소프트가 2월 중 글로벌 타깃의 어린이 영어교육 모바일 서비스인 ‘헬로캐리’(Hello Car...

blog.naver.com

  ⓒ 플랫폼 

   - 국내 IPTV 대표 3사에 콘텐츠 공급

   - 중국 '유쿠', '아이치이', '텐센트비디오'에 채널 보유 

   - 자체 교육 앱 'Hello Carrie' 및 모바일 게임 'Carrie Happy House' 제작

  ⓓ 공간: '캐리키즈카페'

   - 서울시 내 3곳 운영

   - 성인 3,000 원, 어린이 17,000 원(2시간 이용권이며 10분 초과 시 1,000 부과/성인 시간 제한 없음)

  ⓔ 커머스

   - IP 를 활용한 캐릭터 상품 뿐만 아니라 타겟이 동일한 외부 상품들을 입점시켜 판매 중

www.carrieandshop.co.kr/goods/goods_list.php?cateCd=037

 

캐리앤샵

캐리소프트 직영몰ㅣ온가족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상품들을 만나보세요! (캐리팝, 헬로캐리 워크북, 휴대용 비누 딱비, 몽글몽글 젤리팝, 천연 살균 스프레이 VK007, 캐리키즈카페 등)

www.carrieandshop.co.kr

 

몇 년이 지나도 어른들에게는 유느님은 여전히 유느님이듯이 아이들에게도 뽀로로가 평생의 대통령일 줄 알았는데. 매년 새로운 매력적인 언니/오빠/동물 친구들이 등장하고 있었고, 아이들은 TV로만 만나던 우리 때와 달리 유튜브, 공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들의 우상들을 만나고 있었다. OSMU, 시장이 커지는 만큼 키즈 업체들은 온/오프라인 경계없이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며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아이들과도 접점을 늘려가고 있다. 이번 자료 조사를 하며 키즈 시장의 빠른 성장 속도와 다양한 콘텐츠 유통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. 그리고 곧 진행 예정인 키즈 공연 시장의 흐름도 어느 정도 파악했으니 자사와 제휴 업체와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해봐야겠다.